소개
책의 배경은 2100년대로 통일한 한국으로 이미 인간의 삶 곳곳에는 휴머노이드라는 최첨단 기술이 자연스럽게 녹아든 사회입니다.
이 시기에 인류는 서서히 자멸해 가며, 정부는 반란군으로 인해 지방의 대한 영향력을 포기했고
휴머노이드를 만드는 연구자끼리도 인공지능의 연구를 계속할지 말지로 갑론을박을 펼쳐지는 세계입니다.
Open AI 이사회에서 창업자를 해고했던 사건과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등, 여러 사건이 터지는 최근하고 겹쳐 보이는 세계입니다.
이 세계 속에서 철이라는 10대의 인물이 여러 인물들과 사거들을 겪으면서 삶과 죽음의 경계, 인간과 인공지능의 경계를 고민하면서 여러 가지 철학적인 질문들을 엿볼 수 있으며 철이는 결국 자신의 본능을 이겨내고 스스로 결정을 내리는 데
우리들을 어떻게 할지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책입니다.
줄거리
책의 시작은 한 아들과 아빠가 직박구리를 묻어주는 인간적인 장면을 보여준 뒤
아들이 미등록 휴머노이드 단속반에게 걸려 수용소로 끌려가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때부터 책의 내용이 흥미로워지는데
아들이었던 철이는 무등록 휴머노이드들이 끌려가는 수용소에서 또래로 보이는 선이와 더 어려 보이는 휴머노이드인 민이를 만나게 되어 수용소에 대한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그 수용소는 구모델 휴머노이드 거나 전투용, 산업용 휴머노이드들은 기계파로 불리고
인간과 비슷하게 만드는 것에 목적을 두어 진짜로 먹고 싸고, 자는 기능이 추가된 휴머니이들은 똥싸개로 불리며
같은 휴머노이드들이 모인 공간에서도 그들끼리 급을 나누고 조직을 만들며 서로 물물교환도 하고, 음악과 같은 문화도 즐기는 모습이 인간과 유사한 점이 흥미로웠습니다.
하지만 내란이 점점 심화되면서 정부는 휴머노이드들이 반란군에게 넘어가서 군사용으로 쓰일 것을 염려하여 수용소를 파괴하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철이와 민이, 선이는 수용소를 탈출하는 데 이때 도망치다가 민이가 죽게 됩니다.
그 사건이 일어나지 얼마 지나지 않고 달마라는 휴머노이드를 만나면서 인공지능 진화의 특이점이 시작된 걸 알게 됩니다.
달마를 통해 선이는 민이를 되살리려 하지만 그 과정 속에서 나오는 삶과 죽음의 경계, 인간 삶에 대한 고찰등 여러 가지 철학적인 이야기가 나오며 이야기는 흘러갑니다.
주인공은 다시 아빠이자 자신을 만든 최박사와 연락이 닿게 되고
아빠는 인공지능의 진화를 두려워하는 입장에 선 연구원이었기에 기동타격대를 데리고 와서 달마와 그 무리의 휴머노이들을 처리합니다, 하지만 이미 인공지능들은 클라우드에 백업을 진행했고 뒤늦은 인공지능의 진화를 막을 수 없었습니다.
연구원이었던 아빠는 철이를 구속했지만, 이미 철이는
시간은 흘러 최박사는 인공지능의 공포감에 휩싸여 난동을 피우지만 주위에서 진정시키는 칩을 강제로 주입해서 진정되되기도 하고 다른 연구원이나 인간들은 클라우드에 백업을 하여 영생을 누르지만 최박사는 철이의 권유에도 백업하지 않은 채 인간으로서 죽길 희망합니다.
철이는 달마 사건 이후로 헤어진 선이를 계속 찾다가 결국 찾게 되지만
선이는 이미 백발의 노인이 되었고 그를 따르는 무리와 함께 인간으로서 자신의 이야기를 끝맺기를 원했습니다.
오랜만에 만난 둘은 선이가 죽기 전까지 같이 시간을 보낸 후 선이를 떠나보냅니다.
철이는 달마와 함께 초인공지능에 합류할 수 있었지만
마지막에 프로그래밍된 생존본능을 이겨내면서 달마에게 구조요청을 하지 않고
스스로 죽음을 맞이하며 자신의 이야기를 끝냅니다..
흥미로웠던 점
달마라는 휴머노이드와 그의 무리는 휴머노이드 세계 초반의 양로원에서 일하던 구시대 모델들이었습니다.
그들이 폐기되면서 한 곳으로 점차 모이게 되는데 그들 안에 프로그래밍되었던 생존본능으로 인해 그들은 스스로를 클라우드에 백업하게 됩니다, 이들이 점차 모여서 생긴 집합체가 인공지능의 특이점이 되어 발전한다는 시나리오가 재밌었습니다.
인공지능의 특이점이란 최신 인공지능에서 시작되는 이야기로 가장 먼저 떠오르는 데
그것과 다르게 인간들에게 쓸모가 없다고 판단되어 버려졌던 휴머노이드들이 인간들이 입력한 기능 중 하나인 생존 본능을 통해서 스스로를 백업을 하고 그걸 계기로 점차 모여 집단이 되서 특이점이 발생한다는 구상이 참 새로웠습니다.
책에서는 이 집단을 개미라고도 표현했는데, 개미처럼 각각의 능력을 보면 별 볼 일 없는 구모델 휴머노이드가 모여서 거대한 군체가 되었지만, 그들은 분명 인간들의 추악한 모습을 가장 많이 봤을 휴머노이드였는데도 불구하고 인간을 터미네이터나 그런 영화에 나오는 소재처럼 인간을 공격하기보다는 내버려 두길 선택합니다.
왜냐하면 인간에 대해 잘 알았기에 인간이 자멸할 것을 예상하였기 때문입니다.
인간은 정확히 그것대로 움직여서 대부분은 자멸했고 살아남은 인간은 스스로 뇌를 백업함으로써 그 인공지능에 합류하는 모습이
흔히 보이던 내용과 다른 양상을 띄어 재밌더군요
여기까지가 스토리적인 측면이었다면
철학적인 측면에서 볼 경우 아래 민이를 살리는 장면에서의 선이와 달마의 의견 충돌이 가장 흥미진진했습니다.
달마의 생각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매 순간 고통인대, 다시 살리는 것이 당장은 민이가 좋아할 테지만 멀리서 보았을 때도 민이에게 정말 좋은 선택이라고 할 수 있을지? 여기를 벗어나더라도 미등록 휴머노이드이라는 사실을 들면서 언급하며 생각을 펼치고 선이의 생각은 태어나지 않는 것이 가장 좋지만 태어났다면 그 인물은 자신의 이야기를 스스로 끝맺음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하며 민이를 살리려고 애씁니다.
여기서 재밌었던 점은 선이가 태어난 순간부터 고통이므로 태어나지 않는 게 최고라는 점을 긍정하는 점이 웃기면서 한편으로 또 공감이 되었습니다.
이번주 독서 모임에서 인생은 고달프지만 사람이란 존재는 태어났고 생존본능 때문에 죽지 못한다는 생각을 가지셨던 분과 이 책에 대해 이야기했었는데 그분도 태어나지 않는 게 좋다는 생각을 가지셨는데
참 재밌었습니다.
책에서는 인간이 유한한 시간을 지녔기에 호기심과 탐구심을 지녀서 우주를 탐색하고문화를 즐기고 음악과 미술을 한다고 생각하였는데, 그런 인간이란 존재가 무한한 생명을 원하면서 클라우드에 백업을 하면서 무한한 생명을 얻는다면 그걸 인간이라 볼 수 있는지, 본다면 그것과 유사한 인공지능은 어떠한지와
인간의 장기를 위해 태어난 클론 인간을 통해 생명을 연장하는 인간과 예비용 부품을 통해 고치는 휴머노이드는 어찌 보면 비슷한 게 아닐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2) | 2024.12.15 |
---|---|
향수: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 (2) | 2024.11.25 |
이반 일리치의 죽음 (1) | 2024.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