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yEye 측정 방법

2025. 4. 18. 14:09· 도메인/안과
목차
  1. Dry Eye(안구건조증) 진단 정리 
  2. 1. NIKBUT (Non-Invasive Keratograph Break-Up Time)
  3. 2. Meibography (마이봄샘 촬영)
  4. 3. Tear Meniscus Height (TMH, 눈물띠 높이)
  5. 4. Blink Analysis (눈 깜빡임 분석)
  6. 5. Redness (결막 충혈 평가)
  7. 6. Lipid Layer Thickness (LLT, 눈물막 지질층 두께 측정)
  8. 7. Schirmer's Test (쉬르머 검사)
  9. 8. Phenol Red Thread Test (PRT, 페놀 레드 실 검사)
  10. 9. Tear Osmolarity (눈물 삼투압 측정)
  11. 10. InflammaDry (MMP-9 검사)
  12. 11. Ocular Surface Staining (안구 표면 염색 검사)
  13. 12. Tear Clearance Rate (눈물 배출 속도)
  14. 13. Corneal Sensitivity Test (각막 감각 검사)
  15. 14. 주관적 증상 평가 도구
  16. OSDI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17. SPEED (Standard Patient Evaluation of Eye Dryness)

Dry Eye(안구건조증) 진단 정리 

 

1. NIKBUT (Non-Invasive Keratograph Break-Up Time)

  • 정의: 비접촉식으로 눈물막의 파괴 시간을 측정하여 눈물막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검사​
  • 측정 방법: Placido ring을 각막에 투사하고, 반사 패턴의 변화를 분석하여 눈물막의 파괴 시점을 자동으로 감지
  • 특징: 비침습적(신체가 접촉하지 않으)이며, 반복 측정이 가능하고, 환자에게 불편감을 주지 않음​
  • 임상적 의의: 눈물막의 안정성을 평가하여 안구건조증의 중증도를 판단하고, 치료 효과를 모니터링하는 데 활용

2. Meibography (마이봄샘 촬영)

  • 정의: 적외선 이미징을 통해 마이봄샘의 구조를 시각화하여 마이봄샘 기능장애(MGD)를 진단하는 검사​
  • 측정 방법: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하여 상하안검의 마이봄샘을 촬영하고, 구조적 손상 여부를 평가​
  • 특징: 비침습적이며, 빠른 검사 시간과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제공​
  • 임상적 의의: MGD(마이봄샘 기능장애 )로 인한 증발성 안구건조증의 진단 및 치료 계획 수립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

※ 마이봄샘 : 눈꺼풀에 있는 피지선

피지선의 선명도로 단계를 나눔

3. Tear Meniscus Height (TMH, 눈물띠 높이)

  • 정의: 하안검과 안구 사이에 형성된 빛을 반사하는 눈물띠의 높이를 측정하여 눈물의 양을 간접적으로 평가하는 검사​
  • 측정 방법: 슬릿 램프나 전안부 OCT를 사용하여 눈물띠의 높이를 측정​
  • 특징: 비침습적이며, 빠른 검사 시간과 높은 정확도를 제공​
  • 임상적 의의: 눈물 생성 부족 여부를 평가하여 안구건조증의 유형을 구분하고,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데 활용

4. Blink Analysis (눈 깜빡임 분석)

  • 정의: 눈 깜빡임의 빈도와 완전성 등을 분석하여 눈물막의 안정성과 관련된 기능을 평가하는 검사​
  • 측정 방법: 고속 카메라나 센서를 사용하여 깜빡임의 빈도, 지속 시간, 불완전 깜빡임 여부 등을 측정
  • 특징: 비침습적이며, 자연스러운 상태에서의 깜빡임 패턴을 분석할 수 있음​
  • 임상적 의의: 불완전 깜빡임이나 깜빡임 감소는 눈물막의 불안정성을 초래하여 안구건조증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평가하여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됨

5. Redness (결막 충혈 평가)

  • 정의: 결막 혈관의 확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충혈 정도를 평가하는 검사​
  • 측정 방법: 슬릿 램프를 사용하여 결막의 충혈 정도를 관찰하거나, 자동화된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를 통해 정량적으로 평가​
  • 특징: 비침습적이며,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
  • 임상적 의의: 충혈 정도는 안구 표면의 염증 상태를 반영하므로, 안구건조증의 중증도 평가 및 치료 효과 모니터링에 활용

※ Slit Lamp : 눈의 전후안부를 검사하는 데 사용되는 현미경

6. Lipid Layer Thickness (LLT, 눈물막 지질층 두께 측정)

  • 정의: 눈물막의 가장 바깥층인 지질층의 두께를 측정하여 눈물의 증발을 방지하는 기능을 평가하는 검사​
  • 측정 방법: 간섭계(Interferometry)를 사용하여 지질층의 간섭 패턴을 분석하여 두께를 측정​
  • 특징: 비침습적이며, 정량적인 평가가 가능​
  • 임상적 의의: 지질층의 두께는 눈물막의 안정성과 관련이 있으므로, 증발성 안구건조증의 진단 및 치료 계획 수립에 활용

7. Schirmer's Test (쉬르머 검사)

  • 정의: 눈물의 생성량을 측정하여 안구건조증을 평가하는 전통적인 검사​
  • 측정 방법: 하안검에 필터 종이 스트립을 삽입하여 5분간 눈물에 의해 적셔진 길이를 측정
  • 특징: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이지만, 반복성 및 민감도가 낮고 환자에게 불편감을 줄 수 있음
  • 임상적 의의: 눈물 생성 부족 여부를 평가하여 안구건조증의 유형을 구분하는 데 활용

스마일 라식할 때 해본 기억이 나네요

8. Phenol Red Thread Test (PRT, 페놀 레드 실 검사)

  • 정의: 눈물의 양을 측정하는 검사로, pH 감응성 염료인 페놀 레드가 포함된 실을 사용하여 눈물의 양을 간접적으로 평가​
  • 측정 방법: 쉬르머는 종이라면 페놀 레드 실 검사는 실로 진행, 하안검에 페놀 레드 실을 걸쳐 15초간 눈물에 의해 적셔진 길이를 측정​
  • 특징: 짧은 검사 시간과 낮은 자극성으로 환자에게 불편감을 줄이며, 반복성이 높음
  • 임상적 의의: 눈물 생성량을 평가하여 안구건조증의 진단 및 중증도 판단에 활용

9. Tear Osmolarity (눈물 삼투압 측정)

  • 정의: 눈물의 염분 농도를 측정하여 눈물막의 안정성과 관련된 기능을 평가하는 검사​
  • 측정 방법: TearLab 시스템 등을 사용하여 소량의 눈물 샘플을 채취하고 삼투압을 측정
  • 특징: 정량적이고 민감한 지표로, 비침습적이며 빠른 결과를 제공
  • 임상적 의의: 눈물막의 안정성 평가 및 안구건조증의 중증도 판단에 활용

10. InflammaDry (MMP-9 검사)

  • 정의: 눈물 내 염증성 마커인 MMP-9 농도를 측정하여 안구 표면의 염증 상태를 평가하는 검
  • 측정 방법: 눈물 샘플을 채취하여 면역측정법을 통해 MMP-9 농도를 평가
  • 특징: 10분 이내에 결과를 제공하며,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음
  • 임상적 의의: 안구 표면의 염증 상태를 평가하여 안구건조증의 염증성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 수립에 활용

11. Ocular Surface Staining (안구 표면 염색 검사)

  • 정의: 각막 및 결막의 손상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염료를 사용하여 손상된 세포를 염색하는 검사
  • 측정 방법: 플루오레세인, 리사민 그린, 로즈 벵갈 등의 염료를 사용하여 손상된 세포를 염색하고, 슬릿 램프를 통해 관찰
  • 특징: 비침습적이며, 손상 정도를 시각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
  • 임상적 의의: 각막 및 결막의 손상 정도를 평가하여 안구건조증의 중증도 판단 및 치료 효과 모니터링에 활용

12. Tear Clearance Rate (눈물 배출 속도)

  • 정의: 눈물의 배출 속도를 평가하여 눈물막의 안정성과 관련된 기능을 평가하는 검사
  • 측정 방법: 전안부 OCT를 사용하여 눈물띠 높이의 변화를 동적으로 측정
  • 특징: 비침습적이며, 눈물의 생성과 배출 균형을 평가할 수 있음
  • 임상적 의의: 눈물의 생성 및 배출 균형을 평가하여 안구건조증의 유형을 구분하고,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데 활용

13. Corneal Sensitivity Test (각막 감각 검사)

  • 정의: 각막의 감각 기능을 평가하여 신경인성 안구건조증을 감별하는 검사
  • 측정 방법: Cochet-Bonnet 안지오메터 등을 사용하여 각막의 감각 반응을 측정
  • 특징: 비침습적이며, 각막의 감각 기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
  • 임상적 의의: 감각 저하 여부를 통해 신경인성 안구건조증을 감별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 수립에 활용

14. 주관적 증상 평가 도구

OSDI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 정의: 12문항의 설문지를 통해 안구건조증의 증상 빈도와 영향을 평가하는 도구입
  • 측정 방법: 환자가 지난 1주일간의 증상 빈도와 영향을 평가하여 점수를 계산
  • 특징: 간단하고 신뢰성이 높으며, 치료 전후의 변화를 추적하는 데 유용합​
  • 임상적 의의: 안구건조증의 주관적 증상을 평가하여 진단 및 치료 효과 모니터링에 활용​

SPEED (Standard Patient Evaluation of Eye Dryness)

  • 정의: SPEED는 안구건조증의 증상 빈도와 심각도를 평가하는 8 문항의 자가 보고형 도구​
  • 측정 방법: 환자가 최근 3개월 동안의 증상 발생 시기, 빈도, 심각도를 평가하여 총점을 계산
  • 특징: 간단하고 반복 측정이 가능하며, 증상의 변화를 추적하는 데 유용​
  • 임상적 의의: 안구건조증의 주관적 증상을 정량화하여 진단 보조 및 치료 효과 모니터링에 활용​

사실 그냥 설문조사

 

반응형

'도메인 > 안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곡률 반경 Convert Diopters to Millimeter(Millimeter to Diopters)  (0) 2024.11.20
  1. Dry Eye(안구건조증) 진단 정리 
  2. 1. NIKBUT (Non-Invasive Keratograph Break-Up Time)
  3. 2. Meibography (마이봄샘 촬영)
  4. 3. Tear Meniscus Height (TMH, 눈물띠 높이)
  5. 4. Blink Analysis (눈 깜빡임 분석)
  6. 5. Redness (결막 충혈 평가)
  7. 6. Lipid Layer Thickness (LLT, 눈물막 지질층 두께 측정)
  8. 7. Schirmer's Test (쉬르머 검사)
  9. 8. Phenol Red Thread Test (PRT, 페놀 레드 실 검사)
  10. 9. Tear Osmolarity (눈물 삼투압 측정)
  11. 10. InflammaDry (MMP-9 검사)
  12. 11. Ocular Surface Staining (안구 표면 염색 검사)
  13. 12. Tear Clearance Rate (눈물 배출 속도)
  14. 13. Corneal Sensitivity Test (각막 감각 검사)
  15. 14. 주관적 증상 평가 도구
  16. OSDI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17. SPEED (Standard Patient Evaluation of Eye Dryness)
'도메인/안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곡률 반경 Convert Diopters to Millimeter(Millimeter to Diopters)
DSeung
DSeung
DSeung
Dev log
DSeung
  • 분류 전체보기 (193)
    • PHP (62)
      • Laravel (31)
      • Error (5)
      • Setting (11)
      • Modern PHP (15)
    • Go Lang (51)
      • Study (30)
      • Algorithm (17)
      • Setting (1)
      • Error (3)
    • Java (11)
      • Spring (3)
      • JSP (0)
      • Error (2)
      • Setting (2)
      • 단축키 (2)
    • JavaScript (6)
      • Modern JavaScript (4)
      • Node (1)
    • Android Kotlin (5)
      • Study (4)
      • Error (1)
    • 컴퓨팅 기술 (12)
      • 데이터베이스시스템 (4)
      • Docker (2)
      • 크롤링 & 스크래핑 (1)
      • API (1)
      • 클라우드 (1)
      • 네트워크 (1)
    • MySQL (7)
    • AWS (1)
    • Git (5)
      • GItLab (1)
      • GitHub (4)
    • 도메인 (2)
      • 안과 (2)
    • 자격증 (7)
      • SQLD (1)
      • 정보처리기사 (6)
    • Mac os (1)
    • 나머지 (13)
      • tistory (1)
      • 기타 (9)
      • 일기 (3)
    • 독서 (10)

인기 글

최근 글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전체
오늘
어제
hELLO · Designed By 정상우.v4.2.0
DSeung
DryEye 측정 방법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