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
개념은 정말 간단하고 생각해
컴퓨팅와 관련된 모든 자원(PC를 포함한 하드웨어나 애플리케이션 등등)을 돈 주고 빌리는 것
Pay as you go
Q : 근데 왜 구름(cloud )이야? 렌탈 컴퓨팅이라고 하면 편하잖아
A : 구름은 같이 언제든지 볼 수 있는 지만 구름의 내부까지 못 보는 것과 같이 사용자가 실제로 어떤 리소스를 사용하는지까지는 알 수 없다는 점이 구름과 비슷하고
크기가 항상 바뀌는 구름처럼 기존에 컴퓨팅에 유연성과 확장성을 추가한걸 설명하기 위함이야
즉 언제든지 크기를 키울 수도 줄일 수도 있고 원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 도 있어
거기에 우리는 자그마한 부분의 리소스를 가져다가 쓰게 될 텐데 그게 꼭 전체 구름(전체 리소스)에서 필요한 구름만(필요한 리소스) 떼어내는 것과 같아서 분산성과 공유성을 표현하기 좋아서래
개념은 빌려다가 쓰는 것인데 클라우드 컴퓨팅을 제공하는 기업마다 서비스가 사소하게 다를 뿐이야
그래도 같은 서비스이기에 다른 업체여도 용어가 겹칠 때가 많고 기본적인 개념과 기능은 동일해
ex) 스케일업, 스케일아웃, 스케일다운, 로드밸런서, 프로비저닝 등등
클라우트 컴퓨팅의 배포 모델
유형은 뭔가 잡다하게 많은데 그냥 보안 레벨차이라고 보면 돼, 이것도 업체마다 살짝 달라
- Public Cloud : 일반 사용자(우리가 운영 중인 사이트의 고객)들도 마음대로 들어올 수 있어
- Private Cloud : 회사 내부와 같은 특정 조직에서만 사용하게 설정할 수 있어
- Hybrid Cloud : 두 개를 합친 걸로 평소에는 private만으로 사용하다가 사용량이 늘어날 경우 일부만 public으로 돌려서 대처할 수 있어
- Multi Cloud : hybird cloud에서 더 커진 버전으로 여러 개 클라우드 컴퓨팅 및 저장 장치를 사용하는 거야
- Community cloud : 업무와 기능이 유사한 조직들이 파트너십을 맺고 공동으로 사용하는 거야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유형
개념에서 컴퓨터와 관련된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리소스를 빌려준다고 했잖아 그걸 정의하는 단계야
-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 클라우드에서 완전한 서비스를 제공해 줘 (ex : 넷플릭스)
- PaaS(서비스형 플랫폼) : 개발환경을 설치되어 있고 CI/CD, 모니터링도 가능하며 관련 툴을 제공해 줘 (ex : 포켓몬고)
- IaaS(서비스형 인프라) : 그냥 쌩 컴퓨터를 받는다고 생각하면 돼 (ex : 구글워크스페이스, notion)
온프레미스(On-premise)는 뭐야?
기업이 클라우드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보유하고 설치 및 운영까지 다 하는 걸 의미해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의 특징은 다음과 같아
- 온프레미스
- 월 비용 측정이 쉽지 않음
- 모든 환경을 구축해야 함
- 유지보수 및 운영이 필요
- 실제 사용량에 맞춘 환경을 조성하기 힘듦
- 클라우드
- 월 비용 측정이 쉬움
- 실제 사용량에 맞춰 환경을 바꾸기 쉬움 (가용성 보장)
- SLA(Service Level Agreement) 등으로 서비스 운영 품질에 대한 보장이 있음
- 구축 운영 및 시스템 확장등을 통합시킬 수 있음
반응형